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1월 가계부 결산, 맞벌이 신혼부부 가계부 결산 공유

by 짱해맑 2023. 2. 3.
반응형

 

가계부 수입항목
수입 부분

1월 수입 부분

급여: \4,881,651

임의 급여로 정해둔 급여보다 약 38만원 더 들어왔습니다. 

상여: \2,110,310

상여금은 설 상여금으로 저와 남편의 상여금 합계입니다.

기타 수입: \1,800,000

기타수입은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5회차 정부지원금입니다.

부수입: \53,790

이번 달 부수입은 삼성전자 가전제품 후기 이벤트 당첨으로 받은 기프티콘 판매 금액인데 꽤 쏠쏠합니다.

지역화폐 인센티브: \1,000

지역화폐 인센티브로 1천원 할인 받았습니다.


 

 

온블러 가계부 지출항목

1월 지출 부분

건강(병원,약국): \ 607,500

건강 부분으로 예상치 못한 지출이 발생했습니다. 회사에서 일하다가 남편이 다쳐서 손바닥에 플레이트를 심은 적이 있는데 안에서 염증이 나서 제거 수술을 진행해야 했어요. 산재보험 적용받고도 초과하는 부분이 있었고 일부는 제가 치과 교정 치료 후 치아 안쪽 교정기가 아직 붙어있는데 그게 떨어져서 따로 치과 치료와 치과 간 김에 부부 함께 스케일링을 받았습니다.

식비(식자재, 외식, 카페, 간식): \537,916

식자재 약 26만원, 외식 18만원, 카페와 간식 10만원으로 이번 달엔 식자재 구매에 돈이 별로 안 들어간 대신 외식을 좀 많이 했어요. 남편 입원을 핑계로 보양식과 간식도 잔뜩 먹었네요.

교통(주유, 자동차세, 차량 수리비 외): \517,320

주유비 28만원, 자동차세 23만원, 워셔액 1만원, 주차료 등입니다. 자동차세는 차량 2대 7% 할인받아 연납했습니다.

주유비가 생각보다 많이 나왔는데 강의와 설 명절로 이동이 많아서 늘어난 것 같아요.

부모님: \500,000

매월 양가 부모님 앞으로 5만원씩 10만원 저축액과 설 명절 용돈으로 드린 50만원입니다.

부부 용돈: \500,000

부부 용돈 각자 25만원씩 50만원입니다. 

부동산 구매 부대비용: \461,672

22년도 1월에 청약 당첨 후 청약 당첨된 집에 들어가는 비용은 모두 이 항목을 만들어 입력하고 있어요.

중도금 대출이자와 중도금 대출이자를 아껴보려고 근로복지서비스 혼례비 대출을 받았는데 그 이자, 대출 실행할 때 발생한 보증료입니다. 추후 부동산 매각 시 정확히 들어간 금액을 알아야 수익률을 알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이렇게 입력하고 있어요.

주거비: \445,590

월세 약 12만원, 보증금 대출이자 10만원, 도시가스 5천원, 아파트 관리비 22만원입니다.

다행히도 저희는 지역난방을 이용하는 지역의 세대라서 가스비 폭탄은 안 맞았습니다. 지역난방도 이용에 따라서 요금이 엄청나게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난방 시작 전부터 지역난방 요금 아끼는 법을 찾아서 적용했어요.

1달 난방비가 약 4만원 조금 넘게 나와서 이 정도면 만족스럽습니다.

 

보험: \246,812

남편은 실비와 이것저것 통합된 보험으로 12만원 정도, 저는 암보험 따로 실비 따로 다 따로 보장형으로 12만원 정도입니다. 남편의 보험을 바꾸고 싶은데 아직 바꾸질 못하고 있어요. 조만간 바꿔야겠다고 또 한 번 생각합니다.

생활용품: \137,315

빨래통, 침대 매트리스 방수커버, 발 매트 결혼생활 시작할 때 샀던 것들이 생활하면서 너무 불편했어요.

처음 시작이라 어떤 게 실용적인지 모르고 예쁜 것만 보고 고른 탓이겠죠?

결국 그런 물건들을 다시 구매하고 있어서 생기는 비용이 꽤 많습니다.

꾸밈비: \95,430

남편의 커트 비용과 드라이클리닝 세탁 수선비입니다. 수선비 가격을 듣고 너무 깜짝 놀랐습니다. 

그동안 줄이지 않고 두었던 바지 기장을 수선하는데 바지 1개당 기본은 5천원 와이드팬츠는 8천원이더라고요.

물가 상승을 바지 기장 수선비로 체감했습니다. 

 

통신비: \60,960

제 핸드폰 비용 약 1만원, 남편 핸드폰 비용 2만원, 인터넷+TV 사용료 3만원입니다.

현재 리브 M 모바일 알뜰 요금제 사용 중이며 인터넷 TV는 LG유플러스와 리브 M 모바일 결합으로 211채널+500MB 이용 중입니다.

경조사, 회비: \48,900

동생의 카페 오픈 선물로 예쁜 문패를 해줬어요. 가격도 적당하고 예뻐서 서로 만족했습니다.

자기 계발비: \19,000

클래스101 첫 달 구독료 1천원과 마이크로소프트 365 엑셀 패밀리 패키지 구매비용입니다.

컴퓨터에서 제일 많이 활용하는 게 엑셀인데 노트북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구매했습니다.

 

문화 취미 생활: \14,800

남편과 같이하는 취미생활인 당구장 비용입니다.

세금, 수수료: \10,000

카드 연회비입니다.


결산

수입 부분 880만원 - 지출 부분 420만원 = 이번 달 저축가능액은 460만원입니다. 

460만원 중 180만원의 기타수입 정부지원금은 바로 내일채움공제 계좌로 입금되어 만기가 되어야 찾을 수 있는 수입이기 때문에 약 280만원의 저축이 가능한 셈입니다. 2월 부수입은 예상된 게 없지만 파이프라인을 늘리는 데 힘쓰고 있기 때문에 점점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첫 번째 목표로 블로그를 꾸준히 해서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받고 애드센스 승인을 받아 월 부수입 30만원을 만드는 데 힘써야겠습니다. 지출 부분에서 병원비로 지출된 금액 중 실비 청구가 가능한 지 확인 후 보험사에 실비 청구를 진행해야겠습니다. 남편의 보험도 얼른 재정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또 생각 없이 물건을 구매했던 대가로 치른 게 이번 달 생활용품 비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물건을 살 때 두 번 세 번 정말 잘 쓸 수 있는 물건인지 고민해서 사야겠습니다. 2월엔 여행이 가까워져서 환전도 해야 하고 여행 가방 준비하며 여행용품을 사들일 것 같은데 꼭 쓸 물건이 아니라면 사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이번 달 결산을 마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