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신혼부부 돈 관리, 맞벌이 부부 12월 가계부 결산 및 돈 관리 시스템 소개

by 짱해맑 2023. 1. 27.
반응형

맞벌이 신혼부부 결혼 후 돈 관리 어떻게 하고 계시는가요?

저희는 결혼 준비를 시작하며 바로 통장을 먼저 합쳤습니다.

소득이 많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더더욱 합쳐서 관리하자 의견이 모였고

월에 1회 정도 함께 예산을 짜고 결산합니다.

 

저희가 돈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신혼부부 돈관리 시스템
돈 관리 시스템

두 사람의 급여일이 다르기 때문에 수익이 발생하면 모두 파킹통장으로 입금합니다.

비상금 500만원 + 임의로 정한 최소 급여 450만원 = 총 950만원의 금액이 통장에 남아있게 합니다.

매월 1일을 임의 급여일로 정하고 두 사람의 최소 급여 합계인 450만원을 입출금 통장으로 이체합니다.

임의 급여일에 이체한 450만원은 항목별로

생활비 통장 / 대출이자 및 주거비 통장 / 각자의 용돈 / 카드 대금통장 등에 이체됩니다.

이체되고 난 입출금통장 잔액은 0원,  파킹통장 잔액은 500만원이 됩니다.

그 후 두 사람의 급여 입금 시 파킹통장으로 입금해 다시 950만원이 되는 구조입니다.

 

급여가 모두 입금된 후 950만원이 넘는다면 추가 저축하고, 

갑작스러운 비용이 나가는 경우 비상금 500만원으로 해결 후

급여가 더 들어오거나 상여나 기타수익이 발생할 때 채워둡니다.

 

 

그럼 맞벌이 신혼부부 2인 가족의 12월 가계부 결산 시작하겠습니다.

 

12월 가계부 수익 부분

 

▶ 수익 결산

12월 급여는 480만원 정도로 정해둔 급여보다 30만원 더 입금되었습니다.

기타 수입으로 들어온 330만원은 제가 공인중개사 시험에 합격하며 학원에서 환급받은 수강료와

회사에서 DC형 퇴직연금 계좌로 넣어 준 금액입니다.

저의 경우 DC형 퇴직연금으로 연 1회 DC형 계좌로 입금되어 직접 운용합니다.

기타 수입이지만 자유로운 입출금은 안 되기 때문에 퇴직연금 원금 금액 확인용으로만 기록합니다.

금융 수익은 토스뱅크 파킹통장 이자와 카카오뱅크 생활비 통장 카드 사용 시 받는 캐시백 등이 포함되어있어요.

지역화폐 다들 사용하시나요?

저희 부부는 외식하게 되면 꼭 지역화폐 대상인지 확인해서 결제 전 충전을 해서 결제합니다.

같은 식당에 가도 인센티브로 인해 10% 할인을 받는 것과 같습니다.

12월은 인센티브 예산 마감으로 천원밖에 할인받지 못했습니다.

12월 총 수입금액 약 820만원 중 퇴직연금 260만원을 제외한 수입금액은 약 560만원입니다.

 

 

12월 가계부 지출 부분

 

▶지출 결산

공인중개사 합격 환급금과 연말정산 환급금을 모으면 꽤 되기에 3박 5일간의 다낭 여행을 계획했습니다.

여행 항목의 85만원은 그로 인한 항공료와 숙소 비용입니다.

 

식비는 식자재, 외식비, 간식, 카페 등 모든 먹는데 들은 비용입니다. 

식자재 52만원, 외식 10만원, 카페 5만원 정도입니다. 

식자재는 코스트코에서 장봐서 소분해두고 사용하고 있고, 외식은 가끔 식자재 떨어졌을 때 하고 있어요.

카페는 결혼 전에는 카페에 정말 많이 갔는데 결혼하면서 버츄오 커피 머신을 사고 캡슐값만 나가는 정도입니다.

 

용돈은 남편과 저 둘 다 25만원씩 서로 어디에 쓰는지 터치하지 않는 자유 비용입니다.

 

주거 항목에는 중기청 전세 대출 이자, 행복주택 월세, 관리비, 가스비 항목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남편이 혼자 고시원에 살 때도 35만원을 내고 살았는데

24평 행복주택 기준 관리비 17만원~22만원, 월세 12만원, 중기청 이자 10만원,

가스비 격월로 5천원 정도로 아주 만족하며 살고 있어요.

 

교통, 차량 부분은 남편도 저도 둘 다 대중교통으로는 다니기 힘든 회사에 다니고 있기 때문에

차량 2대에 대한 기름값과 차량 소모품비용, 주차 통행료 등입니다.

이번 달엔 엔진오일 교체로 평소보다는 조금 더 나왔습니다. 평소엔 주유비로 약 20~25만원 정도가 듭니다.

 

생활용품 품목은 TV 거실 장과 키 작은 저를 위한 이케아 사다리를 구입했습니다.

그 외엔 다이소가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거 같아요.

 

보험은 줄이고 싶은데 쉽지 않은 항목 같습니다.

저 또한 가족력이 있고 남편도 마찬가지라서 혹시나 하며 더 늘리지는 않고

순수 보장형으로 다양한 보장을 받게 구성했습니다.

 

부모님 항목은 저희가 매월 각 집에 5만원씩 따로 통장에 빼두는 돈 입니다.

그 돈은 모아서 부모님 환갑, 칠순 등 행사나 건강검진 해드리는 비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외엔 가끔 부모님과의 식사비용 정도 들어갑니다.

 

자기 계발비는 재테크 공부나 수입 파이프라인을 늘리는 부분을 공부하고 있어서 강의 비용이나 책 비용으로 사용됩니다.

이번 달에는 월급쟁이 부자들 주언규님, 너나위님 콜라보 강의를 들었습니다.

 

문화 취미생활 비용은 영화나 OTT 서비스 비용, 저희 부부의 취미인 당구장 비용입니다.

저희 부부는 OTT 서비스를 매월 이용하지 않고 보고 싶은 드라마나 영화가 생기면 그달에만 결제해서 보고 해지합니다.

영화 할인받아서 봐도 요즘 2만원이 넘기 때문에 OTT 서비스 2만원으로 한 달 정도 보는 건 쿨하게 결제합니다.

 

통신비에는 저희 부부 통신비와 인터넷, TV 비용입니다.

부부 모두 국민 리브 M 청년요금제 사용 중이며 인터넷과 TV도 알뜰 통신사와 결합하여 할인받습니다.

신용카드도 월 최대 통신비 17,000원 할인되는 카드를 사용하여서 한 달에 6만원 조금 넘는 돈으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

 

결혼 준비 비용은 본식 스냅 사진 보정본이 나와서 양가 선물용과 보관용으로 포토북 제작 비용입니다.

결혼 준비할 때 본식 스냅 부분을 파일만 받는 형식으로 계약해서 직접 포토북으로 제작했는데

본식 스냅 사진을 직접 선택하지 못하고 앨범으로 받는 경우도 많고

마음에 드는 사진이 많아서 앨범 제작 시 추가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가 있는데

파일 형식으로 받아서 포토북 제작하니 비용도 절감되고 저희 마음에 들게 편집도 가능해서 추천해 드립니다.

 

▶ 수입 - 지출 결산

수익 부분 합계 560만원 - 지출 부분 합계는 370만원 = 이번 달 저축가능액은 190만원입니다.

저희는 현재 청년희망적금,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정도만 정기적인 적금으로 가입했고

나머지는 유동적으로 저축하고 투자 중입니다. 

 

1월에는 여행비용으로 추가 지출이 없을 예정이고,

식비는 미리 장봐서 소분해 둔 식자재를 위주로 냉장고 파먹기를 할 예정입니다.

설 명절 부모님 용돈과 자동차세 납부 예정이 있지만 명절 용돈은 남편과 저의 상여가 들어와서

저축액을 더 늘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달엔 12월보다 조금 더 높게 200만원 저축을 목표로 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